무궁화 꽃을 이야기 하자면 마음 한편이 아련해진다.
꽃은 꽃인데 우리 민족의 애환이 서려있는 꽃 이기 때문이다.
무궁화는 영어로 어떻게 부를까? 직역해서
“Endless flower”가
아니냐고 말한 사람이 있어 함께 웃었던 기억도 있다.
무궁화의 영어 명은
'Rose of sharon'이며
'샤론의 장미' 라고 해석한다.
샤론은 성경에 나오는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지역
의 척박한 땅을 의미한다.
성경에서는 예수를
'샤론의 장미'로 비유하며 찬송가로 부르기도 한다.
린네는 무궁화의 학명을 'HIbiscus sirianus'로 명명 했는데 'Hibiscus althea'
라고 하기도 했다.
Hibiscus는 히브리 어로 신의 이름이고 althea는 '치료한다' 는 뜻을 가지고 있다. sirianus는 지역 이름이다. 원산지가 시리아인 것이다.
샤론에 핀 꽃씨를 한민족 장자 셈족이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가져왔다고 한다.
중국은 용(龍), 동남아시아는 힌두교 가루다[神鳥] 문화로 되어 있으나 우리나라는
봉황의 두 그룹 사이에 무궁화가 놓여 있다.
무궁화가 결코 한국에만 제한된 꽃이 아니라 전세계의 구원역사
를 품고 있는 꽃이다.
우리의 나라 꽃 무궁화가 어떤 연유로 이런 이름을 갖게 되었
는지는 참으로 불가사의하다.
사실 무궁화는 세계적으로
널리 많이 피어있는 꽃이다. 부탄에는 우리나라 보다 더 많은 무궁화가 심어져 있으며, 미국 워싱턴 D.C.에도 무궁화 꽃과나무를쉽게 찾아볼수 있다.
하와이에는 가로수로 무궁화가 많이 심어져 있는데, 하와이 주화가 무궁화였다.
무궁화 꽃을 아름답게
여기고 귀하게 대접하고
있는 사실을 볼수 있다.
그런데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무궁화 꽃을 천덕꾸러기처럼 취급하던 시절이 있었다.
진딧물이 많이 끼는 꽃, 피부에 닿으면 피부병을 유발하는 꽃, 핏빛을 닮은 꽃, 아침에 피고 저녁에 지는 지조 없는 꽃 등등.
알고 보면 설사와 구토 등에 효과가 있어 'Hibiscus'라는 고급 차의 원재료가 되기도 하고, 서양에서는 다이어트 효과까지 있다고 하여 약용식물로 이용되기도 한다.
그동안 얼마나 무궁화가 폄훼되었는지, 그 이유가 정치적 이라는 것도 서글프다.
하나의 꽃에 불과한 식물이 정치적인 이유로 뿌리째 뽑히고 불태워지고, 구석진 밭의울타리 용으로 취급받기도했다.
일제 때 행해졌던 폐습 중의 하나였다.
그만큼 무궁화가 우리 민족
과 일체시 되는 '민족의 꽃'
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법률적인 근거는 없지만 관습적으로 무궁화는 우리의 국화로 인식되고 있다.
무궁화가 우리 민족의 마음 속에 국화로 받아 들여진 그 역사는 대단히 오래되었다.
신라 때 최치원이
당나라에 보내는 문서에 '"사불허북국거상표"
(謝不許北國居上表]
에서 우리나라를 근화향(槿花鄕)
(무궁화의 나라)
라고 지칭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기록으로 본다면, 우리가 스스로 무궁화를 나라의 대표 꽃 으로 생각한 역사는 적어도 천이백년 가량이 된다.
조선시대에는 무궁화를 과거에 급제 하면 어사화라고 머리에 꽂아 주었고, 아침에 꽃이 피고, 저녁이 꽃이 지는 훈화로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 지조가 있는 꽃으로 예찬했다.
무궁화는 7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늦게는 10월까지 매일 새로운 꽃을 피운다. 그렇게 해서 한 해에 2, 3천 개의 꽃을 만들어낸다.
유구한 역사를 살아오면서 매일매일 새로운 꽃을 피우며 우리 민족의 역사와 애환을 함께해 왔다.
무궁화의 꽃말이 영원함, 아름다움, 순수함이지만,
색도 은은하고 꽃이 오래 가서 우리 민족이 무궁하게 발전하리 라는 염원을 담아 ‘무궁화’라고 명명한 것이 아닐런지?
'샤론의 장미'는 척박한
땅에서 피어나는 아름다
운 꽃이라는 뜻이다.
고난의 역사를 딛고 세계
속에 우뚝 선 영광의 꽃을 피워낸 대한민국의 역사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무궁화는 이제 영광을
의미하는 꽃이 되었다.
국가 원수에게만 수여하는 훈장이 무궁화 대훈장이다.
대통령 휘장, 대통령실의 문양, 국회의원 배지, 법원의 문장, 그리고 경찰관, 국군의 장교 계급장 등에 무궁화
꽃문양을 쓰고 있다.
이렇듯 무궁화는 고귀하고
높은 품격을 표시하는
문양이 되었다.
무궁화의 아름다운 꽃과 색깔 그리고 의미를 생각하며, 무궁화가 전국 방방 곡곡에 무궁무진하게 활짝 피어있는 대한민국을 상상 한다.
영광과 수난이 반복하던 질곡의 역사와 함께 무궁화는 오늘도 피고 지길 반복하고 있다.
그 강인한 생명력에 찬사를 보내며, 우리 민족의 역사가 계속 발전하고 빛나도록 대한민국 국민에 걸 맞는 소명과 책임을 다해야겠다는 다짐을해 본다 ~
筆者:언론인 李井孝大記者
國家公認 UN한국NGO재단 [UNKNGO]
(전국시민사회단체연합중앙회)
CBN 합동방송신문 • K경찰일보 理事長
사단법인 대한노인회 중앙회
사단법인 한국효도회
國 技 태권도 {홍보대사} 在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