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인이정효大記者
AD 26년 예루살렘은
로마제국의 통치하에 있었는데,
당시 예루살렘에
유다 벤허(Judah Ben-Hur)가
살고 있었다.
벤허는 당대 제일가는
유대 귀족이었다.
어느 날
로마의 지배하에 있던
이스라엘에 새로운 총독과
그를 보좌하는 사령관이 부임했다.
그런데 그 사령관은
다름 아닌 벤허의 옛 친구
메살라였다.
어린 시절 둘도 없는 친구였지만, 로마제국의 사령관인 메살라는 통치자로,
벤허는 억압받는 시민으로 살다 보니 첨예하게 대립했다.
그러던 중 신임 총독의 취임 행렬이 있었는데, 베란다에서 오빠 벤허와 함께 이를 구경하던 여동생이 아래를 내려다 보는 순간
오래된 기왓장이 떨어졌다.
이 사고로 말이 놀라 뛰면서
신임 총독이 낙마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
사실 그 누구의 잘못도 아니다.
오래된 기왓장이 스스로
떨어져 나간 사고였다.
그런데 출세욕에 눈이 먼
친구 메살라는 현장을 검증하고, 이들이 아무 죄가 없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이 기회에 유대인들에게
본때를 보여 주려고,
절친인 벤허의
계획 범행으로 몰고 갔다.
그리곤 아주 가혹하게 처벌했다.
메살라는 벤허의 어머니와 누이동생은 지하 감옥에
가두어 버렸고, 벤허는 노예로 팔아 갤리선에 노를 젓는 형벌을 내렸다.
갤리선은 로마시대에 노예나 죄인들을 쇠사슬로 묶어서,
노를 저어 전투를 하는
일종의 전투선이다.
그렇게 벤허는 두 손이 묶여
갤리선으로 끌려 가던 중에
나사렛을 통과하게 되었다.
우물가에서 물을 먹는데,
로마 군인들은 유독 벤허에게는 물을 먹지 못하도록 금지했다.
쓰러져 목말라 죽을 지경에 이른 벤허에게 한 유대인이 와서 물을 먹여 주었는데,
결국 벤허는 그 물을 마시고
다시 힘을 얻었다.
걷고 또 걸어서 모진 고생 끝에
벤허는 갤리선을 탔고,
배의 가장 밑바닥에서
쇠고랑을 발에 차고
노를 젓는 신세가 되었다.
그를 담당하는 담당관은
유독 벤허에게 심한
채찍질을 가했다.
그런데 놀라운 일이 생겼다.
그것은 복수심에 불타오른
벤허는 어려우면 어려울수록
더욱 더 강해졌고,
노 젓기를 통해서 그의
근육은 더욱 더 단단해졌고,
고통을 이겨내느라
눈은 더욱 더 빛났고,
끝까지 살아 남기 위해
몸부림을 치다 보니 강철 멘탈로 더욱 더 강해졌다.
그렇게 벤허는 1년이면 죽어 나간다는 갤리선에서 3년 동안이나 살아 남았다.
그런 벤허를 함대 사령관인 아리우스 제독은
눈여겨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전쟁이 벌어질때 벤허의 다리에 묶인 쇠사슬을 풀어주고, 치열한 해상전이 펼쳐지면서 전투
중에 아리우스 제독이
바닷물에 빠졌다.
이를 본 벤허는 지체하지 않고
바닷속으로 뛰어들어
아리우스 제독을 구했다.
이를 통해 벤허는 아리우스 제독의 총애를 받고, 시간이 흘러 그의 양아들이 되어
로마 귀족으로 신분 상승을 이루었다.
이렇게 인생 반전을 이룩한
벤허는 원수를 갚기 위해
메살라가 출전한
로마 최대 이벤트였던
전차 경주에 출전한다.
메살라는 원수지간이 된
벤허를 죽이려고 전차
바퀴에 칼날을 달아
상대 전차를 갈아 버린다.
그러나 벤허는 과거에 허약해 빠진 유대 귀족이 아니다.
노예선에서 수년 동안 갈고 닦은 강인한 체력과 멘탈로 무장한 벤허는 메살라와 한판 승부를 벌리는데, 총 9바퀴를 도는 거대한 전차 경기장에서
서로 채찍으로 치고 칼날로 가는 사투를 벌인다.
결국 벤허를 죽이려고
만든 전차 바퀴에 오히려
메살라가 치어 치료를 받다 죽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다.
그 후 벤허는 수소문 끝에
어머니와 누이 동생을 찾았는
데, 그들은 당시에 모든 사람이 피하는 문둥병에 걸려 너무나
도 비참한 삶을 살고 있었다.
이런 모습을 보고 충격과 슬픔에 빠진 벤허는 마지막 희망을 걸고 이들을 데리고 기적을 행한다는
예수님을 찾아갔다.
그런데 예수님은 십자가를 지고
골고다 언덕을 오르고 있었다.
무거운 십자가를 지고 가는
예수님께서 쓰러지자,벤허는 황급히 물을 떠다가 주님에게 먹이려고 얼굴을 보았다.
그 분은 다름 아닌 자신이
나사렛에서 목이 말라
쓰려졌을 때, 자신에게
물을 먹여 준 분이었다.
그렇게 벤허는 십자가를
지고 가는 예수님을 따라 골고다 언덕에 올라갔다.
벤허는 그곳에서 예수님의 마지막 메시지를 듣게 되는데,
그것은 '아버지! 저들을 용서하옵소서! 저들은 자신이 무엇을 하는지 모릅니다.'
이 모습을 보면서 그 동안 복수에 사로잡혔던 벤허는
완전히 새 사람으로 거듭났다.
더욱 더 놀라운 사실은
예수님께서 숨을 거두자
하늘에서 천둥번개가 치면서,
벤허의 어머니와 누이동생의 문둥병이 깨끗이 치유되는 기적이 일어났다.
이 작품은
루 월리스(1827~1905)의 소설 '벤허'를 영화화한
벤허의 스토리이다.
소설로 쓰여진 원작 벤허는
1800년대 말에 성경 다음으로 많이 팔렸고,이후 50년이 넘는 동안 베스트셀러로 사랑을 받았고, 1900년대부터 2010년대 까지 무려
4번이나 영화로 만들어졌다.
1959년에 만든 '벤허'는
아카데미 역사상 최초로
11개 부문에서 상을 휩쓸었다.
저는 벤허를 여러번 보면서
왜 이렇게 이 작품이 많은 사람에게 사랑과 관심을 받았는지 궁금했다.
이 작품에는 세 가지
중요한 메시지가 있다.
첫째,
아무리 어려워도 목숨 걸고
노력하는 자는 인생 역전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삶의 노력에는 속임수가
있을 수 없다!'
한 마디로 노력한 만큼
그 대가를 받는다는 것이다.
벤허는 노예선에서 쇠고랑을 차고 노를 저으면서
오히려 몸이 더 강해졌고,
살기 위해 몸부림치면서
강철멘탈이 되었다.
지금 어렵고 힘들다고 모두
다 잘못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노력하면 오히려 더 잘되는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일수 있다.
시편 119:71
고난 당한 것이 내게 유익이라!
둘째,
물 한 잔이라도 섬기는
삶을 살라는 것이다.
벤허라는 영화 속에 예수님은 딱 두 장면 등장한다.
한 장면은 예수님께서
벤허에게 말없이 물을 먹여 주는 장면이고, 또 한 장면은
벤허가 예수님께 물을 먹여 주는 장면이다.
이것의 의미는 신앙은 결코
이론이 아니라는 것이다.
신앙은 삶이고, 신앙은 구체적인 행동이다.
야고보서 2:26
영혼 없는 몸이 죽은 것 같이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니라!
그러니 목마른 자에게
물 한 잔이라도 성심껏
섬기는 삶을 사시라!
셋째,
기적은 만남의 축복으로
부터 온다는 것이다.
벤허는 옛 친구인 메살라를 잘못 만나 한 순간에 인생 종쳤다.
그러나 벤허는 함대 사령관인
아리우스 제독의 눈에 들어
그의 양아들이 되었고,
예수님을 만나 복수에 사로잡힌 인생에서 용서하고 사랑하는
인생으로 거듭났고, 벤허의 어머니와 여동생은 예수님을 만나 문둥병이 치유되는
기적을 체험했다.
그렇다.
기적은 만남의
축복으로부터 온다.
만남의 축복을 소중히
여기면서 ~
.
筆者: 언론인이정효大記者
公認 UN한국NGO재단{UNKNGO}
(전국시민사회단체연합중앙회)
합동방송신문// K경찰일보 理事長
사).대한노인회중앙회
사).한국효도회
國技 태권도 홍보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