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a society where money can do anything, people will do anything for the money.")

......Unknown

우리 나라를 '동방예의지국' 이라 칭한 것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나 대체적으로 공자의 7대 손인 공빈이 저술한 후한서(後漢書)

에 기원하고 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그책의 내용중

동이열전(東夷列傳)에서

그는 동쪽에 있는 땅에 대하여 기록하기를 '땅은 넓으나 남을 넘보지 않고 군대는 강하나 남을 침범하지 않으며 풍속은 중후하여 길을 가더라도 양보하며 먹을 것을 서로

권할 줄 아는가 하면 가치를 달리하는 남녀가 자리를 같이하지 않는 민족'이라 기술하였으며 그 이래로

우리 민족을 예의 바른 민족으로 지칭해 왔다.

그리고 우리 민족은 무릇 예(禮)와 효(孝)를 최고의 덕목으로 삼아왔으며 옛부터 관가(정치계) 로 나가기 위해

서는 과거제도를 통해 학문을 한 자들만이 백성을 다스리는 자리에 오를수 있었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는 돈이 지배

하는 사회가 되어 돈이

모든 가치를 규정하고 있다.

요즘 어린아이들에게 꿈이 무엇인가 물으면 건물주가 되는 것이라는 대답이 지배적이라고 하는데 조물주 위에 건물주가 있다고 말들을 하고 있다.

한때 선생은 그림자도 밟지않는다던 학생들이 선생님들의 말에 콧방귀도 끼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는 선생이 학생으로부터 폭행을 당해도 교장은 오히려 선생을

나무라는 시대가 되었다.

황금만능주의를 영어로는 'mammonism' 이라 부른다. 'mammon' 이라는 어휘는 성경에서 부(富)나 혹은 재물

을 일컫는 말로 부나 재물을 부정적측면에서 이른 말인데 예수가 말씀하신 '너희들은 나와 재물을 동시에 섬길수 없다' 는 신약성서의 말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인류역사상 최고의 베스트셀러인 성경도 진리와 재물은 같은 길을 갈수 없음

을 설파하고 있는 황금만능

주의가 불러온 우리 사회의 병폐를 보며 우리 사회를 진단코자 한다 .

우리 사회는 한 인간의

'성공'을 어찌 정의하나?

대체적으로 친구 중 누가 돈을 많이 벌었다면 우리는 '그 친구 성공했다' 라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그 말은 돈이 성공의 척도임을 정의하고 있다.

어느 사회가 만약 행복한 사람이 성공한 사람이라고 정의한다면 두 사회가 공히 인간의 삶의 목표가 행복을 추구하는 것에 있다고 가정할 때 (by Aristotle) 두 사회는 판이하게 다른 형태를 띠게

될 것이다.

황금만능주의 사회의 특징

1).가치관의상실 및 전도(顚倒)

노동의 신성함이나 직업의 가치 또는 직업의 사회기여도 등은 사라지고 오로지 수익성만이 가치를 규정하는 기준이 된다.

2). 인간관계의 도구화

인간관계가 사랑이나 우정 또는 의리에 의해 성립하기 보다는 이익이 창출될 수 있을 때만 존립하므로 인간관계는 극히 산술적인 관계로 전락하여 배신과 변절이 횡행하며 인간미(人間美)라는 어휘는 사전에서조차 사라질 것이다.

인간성의 황폐화가 일어나 인간들끼리의 공동체의식도 사라지며 연대의식도 사라진다.

3).기회의 불평등 심화

경제능력에 따라 교육이나

취업 및 사회적 기회가 결정되므로 사회구성원 사이의 불균형이 심화되며 부익부 빈익빈현상으로 이어져 부나 가난의 세습이 고착화된다.

이는 마치 과거의 노비제도

에서 노비를 세습하여 영원히

벗어날수 없음과 같다.

사회적 신분의 상승에 실패한 백성들은 정치의 부재를 탓하며 정치에 냉소주의가 팽배하고 가진 자들에 대한 극도의 반발심으로 이어진다.

4). 도덕적 해이

황금만능주의의 사회에서는 돈은 무소불위의 힘을 가지므로 유전무죄, 무전유죄의 현상이 일어나고 뇌물이나 부정청탁이 광범위하게 자행되며 돈과 양심

을 바꾸는 일이 일상이 된다.

돈이 돈을 벌므로 부동산투기 열풍이 일어나며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들 간의 괴리감이 사회를 지배한다.

이 도덕적해이는 사회의

마지막 보루여야 할 종교계와 사법체계의 붕괴로 이어진다.

5). 수단과 방법의 정당화

돈을 버는 일이라면 여하한 수단과 방법도 정당화하므로 불법이 횡행하며 부정과 부패가 만연하여 범죄가 극성을 부려 사법체계도 감당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른다.

6). 삶의 질 저하

인간이 범하는 오류 중 가장 커다란 오류가 재물이 행복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믿음이다. 과거에 비해 국민소득은 수십배 증가하였으나 인간의 행복지수

는 떨어지기만 하고 있다.

물질적 풍요에도 불구하고 인간성의 상실과 경쟁의 심화, 상대적 빈곤감과 정신적 빈곤 그리고 사회적 소외감 등으로 삶의 질은 해를 거듭할수록 내려만 가고 있다.

7). 상대적 빈곤감은 비혼주의

로 발달하고 가정이 사라지며 인구의 감소로 이어진다.

황금만능주의로 겉으로는 화려해 보일수 있으나 개인은 물론 사회전반에 걸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위험한 사상이다.

먹고 입고 사는 일은 단시간 내에 이룰수 있으나 모랄의 붕괴라는 대세는 거스릴수 없으며 다시 되돌리는 일은 어린아이들부터 시작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흔히 듣는 말이 '우리가

어쩌다 이 지경이 되었는가?'

라는 질문이다.

우리가 이렇게 된 배경에는 'mammonism'

이 자리하고 있었음을 나는 자신있게 말할수있다 ~

筆者: 언론인 李井孝 大記者

國家公認 UN한국NGO재단 {UNKNGO}

(전국시민사회단체연합중앙회)

합동방송신문 • K경찰일보 理事長

사단법인 대한노인회 중앙회

사단법인 한국효도회

國 技 태권도 홍보대사 在任